본문 바로가기
신기한 건강 지식

노로바이러스 증상, 감염경로와 대처법 정리

by 알쓸신의 2025. 3. 16.

겨울철에 많이 걸리는 질병 중에 하나가 바로 '노로 바이러스 장염'입니다.

여름에는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이 원인인 식중독이 유행이라면 겨울에는 '노로 바이러스'가 주 원인인 식중독이 유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어떤 경로로 노로바이러스가 전염되는지, 증상은 어떤지, 그리고 감염되기 전 주의사항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로바이러스 장염 정의

노로바이러스 장염은 사람의 위와 장애 염증을 일으키는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식중독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낮은 기온에서 번식력이 떨어지는 것과 달리 노로 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활동이 활발합니다.

노로바이러스식중독-언제-많이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월별 발생 현황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부터 영상 60℃까지는 거뜬히 버틸 수 있고, 약 5℃에서 활동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겨울의 차가운 바다는 노로바이러스가 가장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는 환경이라는 뜻이죠. 그래서 겨울철에 쉽게 감염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별히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흔히 걸릴 수 있는 질환입니다.

노로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2. 노로바이러스 증상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면 바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24시간~48시간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약 이틀에서 삼일정도 지속 후 회복됩니다.

실제로 저도 겨울철 굴을 먹고 다음날 멀쩡해서 안심했었다가 그 다음날 부터 마치 주사 맞은 듯이 온몸이 쑤시고 기운이 없는 증상이 나타났었습니다. 

 

소아와 성인에서 나타나는 주 증상에 차이가 있는데요.

소아의 경우 구토가 흔하지만 성인에서는 설사가 흔하게 나타납니다. 그 외 두통, 발열, 근육통과 같은 신체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노로바이러스 감염경로

노로바이러스 장염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음식을 먹어 걸리는 경우가 가장 흔한 경우입니다.

그 외에도 감염자와의 직접 접촉, 공기 중 바이러스 흡입으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감염자와 직접 접촉

노로 바이러스는 소량으로도 쉽게 전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감염된 사람과 악수를 한다거나 공공장소에서 손잡이, 화장실, 테이블 등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염자와 같이 사는 가족들의 경우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음식물을 통한 전염

가장 흔하게 걸리는 경로 중 하나입니다. 특히, 겨울이 제철인 굴, 홍합, 가리비 등 어패류를 통해 쉽게 감열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조개나 생선회에서도 바이러스가 붙어있고 익히지 않은 종류의 음식(채소, 육류 등)에도 모두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습니다. 상한 음식을 통해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과는 다르게 부패 상태와 상관없이 신선한 음식에도 바이러스가 붙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날 음식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 공기 중 바이러스 흡입

감염자가 구토할 때 공기 중으로 퍼진 바이러스를 흡입해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노로 바이러스 치료

대부분 48시간에서 72시간이 지나면 자연 회복됩니다. 노로 바이러스에 대한 특수 항바이러스제가 없습니다. 설사로 인한 수분과 탈수를 교정해주는 수분 공급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이온음료로 수분 보충하되, 탄산과 과일 주스는 피해야 합니다. 합병증 위험이 높은 노인, 당뇨, 면역저하상태, 심한 복통,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증상이 있는 사람은 입원 치료를 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참고 :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명지병원 건강정